프로그래밍 언어/C#

C# 변수와 데이터 타입 종류, 선언과 초기화 방법 - C# 3

eco7T 2024. 8. 23. 14:44
반응형

지난 시간 C# 개발 환경을 완료했으니, 오늘은 C#에서 변수와 데이터 타입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명확히 설명하고, 실제 코드 예제를 통해 독자가 개념을 이해하고 실습해 볼 수 있도록 정리해 보겠습니다.

C# 변수와 데이터 타입
C# 변수와 데이터 타입

 

C# 변수와 데이터 타입

  변수란 무엇인가?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쉽게 말해,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상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상자에는 이름이 붙어 있고, 이 이름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나중에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의 선언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합니다. 변수 선언은 변수의 이름과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종류(데이터 타입)를 지정하는 과정입니다.

int age;

위 코드는 age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하는 예입니다. 이 변수는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변수의 초기화

변수를 선언한 후에는 값을 저장(초기화) 해야 합니다. 선언만 하고 값을 저장하지 않으면 변수를 사용할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ge = 25;

위 코드는 age 변수에 25라는 정수 값을 저장하는 예입니다.

변수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할 수도 있습니다. 

int age = 25;

이 코드는 age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25라는 값을 초기화하는 예입니다.

 

  데이터 타입이란

데이터 타입은 변수에 저장할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를 저장할지, 문자를 저장할지, 혹은 논리값(True/False)을 저장할지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면, 변수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지 명확해지고, 그에 맞는 연산이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데이터 타입 종류

C#에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수형 (int): 정수를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1, 100, -50 등이 있습니다.
  • 실수형 (float, double): 소수점이 있는 수를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3.14, -0.001 등이 있습니다.
  • 문자형 (char): 단일 문자를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A', 'b', '1' 등이 있습니다.
  • 문자열형 (string): 여러 문자를 연속해서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Hello, World!", "12345" 등이 있습니다.
  • 논리형 (bool): 논리값(True 또는 False)을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true`, `false`가 있습니다.

 

  데이터 타입의 사용 예시

 

정수형 (`int`)

정수형 데이터 타입은 정수를 저장합니다. 범위는 약 -21억부터 21억까지의 값입니다. 

int numberOfApples = 10; int age = 25;

위 코드는 numberOfApples`라는 변수에 10을, age라는 변수에 25를 저장하는 예입니다.

 

실수형 (float, double)

실수형 데이터 타입은 소수점을 포함한 수를 저장합니다. float은 7자리 정도의 정밀도를 가지며, double은 15자리 정도의 정밀도를 가집니다. 

float height = 175.5f; double weight = 70.25;

위 코드는 height라는 변수에 175.5를, weight라는 변수에 70.25를 저장하는 예입니다. float형 변수는 값 뒤에 `f`를 붙여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문자형 (`char`)

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단일 문자를 저장합니다. 이때 문자는 작은따옴표(`'`)로 감싸야합니다. 

char grade = 'A'; char symbol = '#';

위 코드는 grade라는 변수에 문자 'A'를, symbol이라는 변수에 문자 '#'을 저장하는 예입니다.

 

문자열형 (`string`)

문자열형 데이터 타입은 문자들의 연속된 집합을 저장합니다. 문자열은 큰 따옴표(`"`)로 감쌉니다. 

string name = "John Doe"; string greeting = "Hello, World!";

위 코드는 name이라는 변수에 "John Doe"라는 문자열을, greeting이라는 변수에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저장하는 예입니다.

 

논리형 (bool)

논리형 데이터 타입은 `true` 또는 `false` 값만 가질 수 있습니다. 이 타입은 주로 조건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bool isRaining = false; bool hasCompleted = true;

위 코드는 isRaining이라는 변수에 `false`를, hasCompleted라는 변수에 `true`를 저장하는 예입니다.

 

  변수와 데이터 타입의 적용 예제

이제 앞에서 배운 변수와 데이터 타입을 활용하여 간단한 콘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int age = 25; float height = 175.5f; char initial = 'J'; string name = "John Doe"; bool isStudent = true; // 변수 출력 Console.WriteLine("Name: " + name); Console.WriteLine("Initial: " + initial); Console.WriteLine("Age: " + age); Console.WriteLine("Height: " + height + " cm"); Console.WriteLine("Is Student: " + isStudent); } }
  • using System; :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선언입니다. 여기서는 `Console`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 int age = 25; 등 :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합니다.
  • Console.WriteLine : 콘솔 창에 값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 연산자를 사용하여 여러 값을 연결해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콘솔에 출력됩니다:

Name: John Doe Initial: J Age: 25 Height: 175.5 cm Is Student: True

지금까지 변수와 데이터 타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