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코레이터 2

타입스크립트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클래스, 인터페이스, 상속 정리 - TypeScript #4

이번에는 TypeScript를 활용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TypeScript의 클래스, 인터페이스, 접근 제어자, 상속, 다형성, 추상 클래스, 데코레이터 같은 기능을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클래스와 인터페이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의 본질은 프로그램을 다양한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것에 있습니다. TypeScript는 JavaScript를 기반으로 하지만, 클래스(Class) 중심으로 전통적인 OOP 언어처럼 객체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합니다.예를 들어, 아래는 간단한 User 클래스를 만든 코드입니다.class User { name: string; age: number; constructor(name: string, age: number) { ..

메타클래스와 데코레이터로 배우는 파이썬 고급 프로그래밍 - 고급 Python #2

이번에는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고급 문법인 데코레이터와 메타클래스의 개념과 활용법에 대해 살펴보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한 기법으로 데코레이터와 메타클래스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유연한 프로그래밍 방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겠습니다.  파이썬 메타클래스와 데코레이터  데코레이터(Decorator)데코레이터는 쉽게 말해 ‘함수나 메서드, 클래스를 꾸며주는 도구’입니다. 파이썬에서 데코레이터를 적용한다는 것은 특정 함수나 클래스를 인자로 받아 다른 함수나 클래스를 반환하는 특별한 함수(혹은 객체)를 사용한다는 뜻입니다.흔히 @ 기호를 사용하여 함수 정의부 바로 위에 붙이는데, 이를 통해 본래 함수의 내부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새로운 기능을 덧입힐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