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3

OpenAI API Chat Format으로 챗봇 만들기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가이드 #5

이번에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마지막 이야기로, OpenAI API의 "Chat Format"을 활용한 대화형 챗봇(ChatBot)을 구현해 보도록 할게요. 생성형 AI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대화형 챗봇은 아주 좋은 예가 될 거예요. OpenAI API Chat Format으로 챗봇 만들기 역할 기반 메시지 구성Chat API의 핵심은 role 기반 메시지 시스템이에요. 모든 대화는 다음과 같은 역할로 구분됩니다.system: 초기 설정과 규칙을 정합니다. user: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입니다.assistant: 모델이 생성한 답변입니다.이 구조를 활용하면 원하는 성격과 기능을 가진 챗봇을 쉽게 설계할 수 있죠, 다음 예시 코드를 보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messages = [ {"rol..

OpenAI GPT 출력 형식 설정으로 JSON 파싱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2

이번 글에서는 지난번에 시작했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이용해서 GPT에게 원하는 답을 얻는 방법 중 GPT에게 명확하게 구체적으로 잘 묻는 방법에 이어서 GPT의 응답을 명확하게 하도록 요구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OpenAI GPT 출력 형식 설정으로 JSON 파싱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GPT에게 잘 묻는 방법지난 글에서는 구분자를 이용해서 지시/요청/질문하는 형식을 말했어요. 오늘은 GPT에게 지시(instruction) 하기 위해 프롬프트를 작성할 때, 응답형식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요. [일단 지난 글과 비슷하게 get_completion 함수를 다음과 같이 구성했고요.def get_completion(prompt): response = openai.cha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챗GPT와 OpenAI API 활용 - GPT에게 원하는 답을 얻는 법 #1

이번 글부터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생성형 AI와 관련한 기술에 대해 시작해 보겠습니다. 그중 오늘부터 몇 회에 걸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살펴보겠습니다. 물론, 가장 많이 사용되는 OpenAI의 GPT 기반으로 설명하게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이용해서 GPT에게 원하는 답을 얻는 방법챗지피티를 사용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AI가 원하는 답을 주지 않아!"라고 하는 사람들이 가끔 있더라고요, 이때는 그저 '자세하게 질문해'라고 대답을 해주곤 하는데요, 사실은 이 말이 매우 정확하게 충고해 주는 거예요. 챗GPT는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해서 사용자는 알 수 없지만, 중간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 GPT가 보다 적극적이고 자세하고 사용자가 알기 쉽게 대답하도록 가공하는 단계가 있어요. 때문에 챗GPT에게 어..

반응형